본문 바로가기
정보

청년희망적금 만기? '청년도약계좌 환승' 혜택! (2025년 최신)

by 황금알 감사 2025. 4. 9.

 

2년 동안 차곡차곡 모아 드디어 '청년희망적금' 만기의 기쁨을 맞이하신 청년 여러분,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! 🎉

그동안의 꾸준한 노력으로 만들어낸 소중한 목돈과 정부 지원금까지, 정말 뿌듯하실 텐데요. 이제 여러분 앞에는 행복한 고민이 놓여있습니다. "이 목돈,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불려 나갈까?"

 

바로 이 고민의 해답으로 정부가 마련한 특별한 기회가 있습니다!

바로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을 '청년도약계좌'로 매끄럽게 이어가는 '환승(연계 가입)' 제도입니다.

단순히 새로 가입하는 것을 넘어, 만기된 목돈을 활용해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인데요.

 

"환승? 그게 뭔데?", "어떻게 하는 건데?", "나도 할 수 있을까?" 궁금한 점이 많으실 겁니다. 2025년 4월 현재 기준으로,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로 현명하게 갈아타는 A부터 Z까지 모든 방법을 이 글 하나에 담았습니다. 

 

청년희망적금 만기, 축하합니다! 

먼저, 2년 만기 청년희망적금 졸업을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!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 동안 성실하게 저축하며 자산 형성의 첫 발을 성공적으로 내딛으셨습니다. 이제 그 경험을 바탕으로 더 길고(5년 만기), 더 큰 혜택(정부 기여금 + 비과세)을 제공하는 '청년도약계좌' 를 통해 본격적인 자산 점프업을 시작할 때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최대 5천만 원 수준의 목돈 마련을 목표로 하는 든든한 금융 사다리입니다.

왜 그냥 가입 말고 '환승(연계 가입)'이 유리할까? 혜택 3가지

"어차피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건데, 그냥 새로 가입하면 안 되나요?" 물론 가능합니다. 하지만 정부가 특별히 마련한 '환승' 제도를 이용하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!

  1. 끊김 없는 정부 지원 혜택 + α: 청년희망적금의 비과세 혜택에 이어,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공백 없이 바로 이어서 누릴 수 있습니다. 마치 환승 할인을 받는 기분이랄까요? 여기에 은행별로 환승 고객을 위한 추가적인 이벤트나 우대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.
  2. 강력한 '목돈 일시납입' 효과: 이게 핵심입니다!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(최대 1,300만 원 수준)을 청년도약계좌에 '일시납입(한 번에 넣기)'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어떻게 적용되나요? 예를 들어, 만기금 1,260만 원을 일시납입하고 월 납입 설정액을 70만 원으로 했다면? 1,260만 원 ÷ 70만 원 = 18개월. 즉, 18개월 치 납입액을 미리 낸 것으로 인정해 줍니다! 이 18개월 동안에도 정부 기여금이 매달 지급(소득 조건 충족 시)되고, 이자도 더 빨리 불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. (※ 정확한 인정 기간 및 방식은 가입 시 상품 설명서 확인 필수!)
  3. 간편한 자금 이동 및 관리: 만기된 희망적금 계좌에서 도약계좌로 자금이 자동으로 이체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번거로움이 줄어듭니다. 여러 계좌를 관리할 필요 없이 청년도약계좌 하나에 집중할 수 있죠.

 

환승 전 '필수 체크'! 자격 조건 확인하기 (중요!)

"와, 혜택 좋다! 그럼 무조건 환승해야지!" 라고 생각하기 전에, 가장 중요한 관문이 남아있습니다. 바로  '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 조건' 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

잊지 마세요!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라고 해서 자동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! 청년도약계좌를  '새로 가입하는 시점' 의 기준으로 아래 조건들을 모두 충족해야 환승(연계 가입)이 가능합니다.

  • 나이: 만 19세 ~ 34세 (병역 이행 기간 인정)
  • 개인 소득: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)
  • 가구 소득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

어디서 확인하나요?

정확한 최신 자격 기준 및 소득 확인 방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(https://www.kinfa.or.kr/)나 가입하려는 은행 앱/홈페이지의 공지를 통해 반드시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.

소득 기준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꼭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!

 

단계별로 따라하면 끝! 환승 방법 상세 가이드 (feat. 은행 앱)

자격 조건을 확인하셨다면, 이제 본격적으로 환승 절차를 밟아볼까요? 대부분 은행 앱을 통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Step 1: 내 청년희망적금 만기일 & 예상 수령액 확인하기

  • 먼저 내가 가입했던 청년희망적금의 정확한 만기일과 예상 만기 수령액(원금+이자+정부 지원금)을 확인합니다. 해당 은행 앱이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Step 2: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(feat. '연계 가입' 옵션 선택!)

  • 지정된 신청 기간 (보통 만기일이 속한 달의 초부터 일정 기간)에 맞춰,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 앱에 접속합니다.
  • 청년도약계좌 가입 메뉴로 들어가, '청년희망적금 만기자' 또는 '연계 가입', '일시납입' 등의 옵션을 반드시 선택하여 신청을 진행합니다. (※ 은행마다 메뉴명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!) 일반 신규 가입으로 진행하면 일시납입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!

Step 3: 일시납입 금액 설정하기

  •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중 얼마를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지 금액을 설정합니다. 보통 만기 수령액 전액까지 설정 가능하며, 최소 금액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 (예: 200만 원 이상)
  • 동시에, 앞으로 매달 납입할 '월 설정 금액'(최대 70만 원)도 정합니다. 이 금액 기준으로 일시납입 금액의 납입 인정 기간이 계산됩니다.

Step 4: 가구원 동의 등 추가 절차 진행하기

  •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 확인을 위해 필요한 절차(개인/가구 소득 확인, 가구원 동의 등)를 안내에 따라 진행합니다. '가구원 동의'가 필요한 경우, 미리 가족들에게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센스!

Step 5: 만기 후 자동 이체 & 환승 완료!

  • 청년희망적금이 실제로 만기되면, 설정한 일시납입 금액이 자동으로 새로 개설된 청년도약계좌로 이체됩니다. 이체가 완료되면 환승 성공!

Step 6: 이후 월 납입 시작하기

  • 일시납입 금액으로 인정된 기간이 지난 후부터는, Step 3에서 설정한 '월 설정 금액'을 매달 꾸준히 납입하면 됩니다. (예: 18개월 인정 시, 19개월 차부터 월 납입 시작)

 

어떤 은행에서 환승할까? 은행 선택 TIP

"청년희망적금 들었던 은행에서 그대로 환승해야 하나요?"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! 아래 기준들을 고려해서 나에게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세요.

  • 기존 거래 은행 vs. 신규 은행: 희망적금을 가입했던 은행에서 그대로 환승하면 절차가 조금 더 간편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다른 은행의 YLA 금리나 앱 편의성, 이벤트가 더 매력적이라면 과감히 옮기는 것도 방법입니다.
  •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: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이나 각 은행 홈페이지/앱에서 은행별 기본금리 및 우대금리 조건을 꼼꼼히 비교하세요. 나에게 유리한 우대 조건을 제공하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은행 앱 편의성: 앞으로 5년 동안 매달 사용해야 할 앱입니다. UI/UX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 앱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습니다.
  • 환승 관련 이벤트: 일부 은행에서는 청년희망적금 만기자 대상 환승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. 캐시백, 경품 등 쏠쏠한 혜택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!

환승 시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: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 전부를 청년도약계좌에 넣어야 하나요? A1: 아닙니다. 원하는 금액만큼 설정하여 일시납입할 수 있습니다. (보통 최소 200만 원 이상 ~ 만기 수령액 전액 범위 내, 은행별 확인 필요) 남은 자금은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합니다.

Q2: 일시납입하면 매달 내는 돈(월 납입액)은 언제부터 내나요? A2: '일시납입액 ÷ 월 설정액 = 납입 인정 기간' 만큼 지난 후부터 내기 시작합니다. 예를 들어 1,260만 원을 일시납입하고 월 70만 원으로 설정했다면, 18개월(1,260÷70) 동안은 월 납입 의무가 없고, 19개월 차부터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면 됩니다.

Q3: 환승(연계 가입) 신청 기간을 놓쳤어요. 어떻게 하죠? A3: 안타깝지만 지정된 신청 기간을 놓치면 '환승(연계 가입)' 혜택, 즉 일시납입은 불가능합니다. 이후에는 일반적인 '신규 가입' 절차를 통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해야 합니다.

Q4: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환승은 못 하나요? A4: 네, 그렇습니다.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(나이, 소득 등)이 안 되면 환승(연계 가입) 자체가 불가능합니다. 이 경우, 만기된 청년희망적금 자금은 예금, 펀드 등 다른 금융 상품을 통해 운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.